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벌초 할 때는 벌 조심! 벌 쏘임 사고 대처 방법, 예방법, 증상

by Dr Ryu 2023. 9. 27.

다가오는 목요일은 민족 최대의 명절, 추석입니다. 그런데, 추석을 앞두고 성묘 준비를 위해 벌초를 하다가 벌 쏘임 사고를 당하는 사례가 많아지고 있는데요, 이번 게시글에서는 벌 쏘임 사고를 당했을 때 증상과 대처 방법, 벌 쏘임 사고 예방법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성묘 전, 벌초를 진행하고 있는 모습
성묘 전, 벌초를 진행하고 있는 모습, 출처: 불교신문

벌초할 때는 벌을 조심하세요!

민족의 대명절 추석에는 각 가정이 오랜만에 고향을 방문하고 성묘를 하며 가족의 정을 나눕니다. 그런데 성묘를 하기 전, 여름 내내 무성하게 자란 잡초를 정리해야 하겠죠. 저희 시골집도 추석이 오기 전 벌초를 진행하였는데요, 벌초 과정에서 벌 쏘임 사고를 정말 조심하셔야 합니다. 벌초 중 벌집을 미처 발견하지 못하고 건드려 순식간에 벌에게 쏘이는 사고가 최근 많이 발생하고 있습니다.

풀잎에 앉아있는 말벌
풀잎에 앉아있는 말벌, 출처: 나무위키

벌 독(봉독)의 대표적 성분, 멜리틴

벌에 쏘이면 벌 독에 의해 가렵고 부푸는 증상이 나타납니다. 벌 독에는 약 40여 종의 물질이 포함되어 있는데요, 그중 멜리틴(Melittin)이라는 물질이 50% 정도로 큰 부분을 차지하고 있습니다. 그 외에는 포스포리파아제, 히아루르니하조제, 히스타민, 아파민 등을 포함하고 있습니다.

강한 독이면서 약으로 사용되는 멜리틴

봉독에 가장 많이 포함되어 있는 멜리틴은 강한 용혈 작용을 나타내고, 아나필락시스를 유발할 수 있는 성분입니다. 그러나 한편으로는 약리적 특성을 가지고 있기도 합니다. 멜리틴은 항염, 진통, 면역력 증강, 항바이러스 효과, 혈액순환 촉진 등의 효능을 나타낸다고 알려져 있습니다. 말벌을 잡아 말벌주를 만드는 것도 이러한 이유 때문입니다.

 

벌에 쏘였을 때 나타나는 증상

그렇다면 벌에 쏘이면 어떤 증상이 나타날까요?

벌에 쏘이면 보통 가려움, 부풀어 오름, 통증 증상이 나타나며, 시간이 지나며(대체로 1~2) 자연스럽게 사라집니다. 만약, 시간이 충분히 지나도 증상이 가라앉지 않거나, 심화된다면 의료기관에 방문하여 전문의의 진료를 받아보는 것을 권장합니다.

말벌에 쏘였을 때는 바로 병원에 방문하는 것이 좋습니다. 말벌은 꿀벌이 가지고 있는 독보다 훨씬 많은 독을 가지고 있기 때문입니다.

피부에 벌침이 쏘이기 직전 사진
피부에 벌침이 쏘이기 직전 사진, 출처: 헤럴드 경제

알레르기 반응이 나타난다면 최대한 빨리 병원으로!

만약, 땀이 심하게 나거나 두드러기, 설사, 호흡곤란 등 알레르기 반응이 나타난다면 말벌이 아니라 꿀벌에게 쏘여도 위험할 수 있습니다. 아나필락시스 쇼크가 발생할 가능성이 있으며 이와 같은 경우, 최대한 빨리 병원에 방문하는 것을 권장합니다.

 

독침은 신용카드로 살살 밀어내면 뽑힌다

벌에 쏘여서 독침이 피부에 박힌 게 보인다면, 섣불리 손가락으로 잡아 빼는 것보다는 신용카드로 살살 밀어내어 제거하는 것이 좋습니다. 크기가 너무 작아 손가락으로 잘 잡히지도 않을뿐더러 오히려 깊게 박힐 수 있기 때문입니다. 벌침을 제거한 후에는 쏘인 자리에 얼음찜질을 하여 부기를 가라앉힙니다.

 

벌 쏘임 사고 예방법

역시 벌에 쏘인 후 대처 방법을 알아보는 것보다 벌에 쏘이는 것을 예방하는 것이 가장 좋겠지요? 벌 쏘임 사고 예방법은 다음과 같습니다.

  • 밝은 색 옷 입기 (벌은 어두운 계열의 옷 색에 강한 공격성을 나타냅니다.)
  • 짙은 향의 향수 피하기
  • 벌초 구역에 벌집이 있나 한번 더 확인하기
  • 긴소매 옷 착용하기
  • 두꺼운 양말, 모자, 등산화 착용하여 피부 노출 최소화하기
  • 벌을 발견했을 때에는 차분하게 대피하기
  • 벌집을 건드렸을 때는 신속히 멀리 떨어지기

벌쏘임 사고 증상 및 예방법 [서울아산병원] - 바로가기 링크 : https://www.amc.seoul.kr/asan/mobile/healthinfo/disease/diseaseDetail.do?contentId=32322 

 

서울아산병원 모바일

앞선 의술 더 큰 사랑을 실천하는 서울아산병원 입니다

www.amc.seoul.kr

 

맺음말

민족의 대명절 추석이 다가왔습니다. 성묘를 위해 벌초는 꼭 해야만 하는 일인데요, 벌초 시 벌 쏘임 사고 예방수칙을 잘 지켜서 아무쪼록 안전하게 추석 나시길 바라겠습니다.

오늘도 긴 글 읽어주셔서 감사합니다. 다음에도 좋은 내용으로 찾아뵙겠습니다.

참고자료

  1. 김수진, 뱀 물림, 벌 쏘임, 예초기 사고 대응법... “독 퍼진다고 꽉 묶지 마세요”, 한국경제 TV, 2023.09.
  2. 서울시 독성물질 중독관리센터, 2022.09.
  3. 서울아산병원, 벌에 쏘였을 때

댓글